728x90

지분율 희석
최근 법률신문 보도에 따르면 유상증자 상황에서 기존 주주가 신주 인수를 포기할 경우 지분율이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코스닥 상장사 중심으로 외부 자금 유치 목적의 증자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기존 대주주가 자금 여력이 부족해 참여하지 못하면 경영권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엔에스, 카나리아바이오, 두올 등 사례에서는 기존 대주주가 증자에 참여하지 않아 지분율이 축소됐으며, 그 여파로 투자자 신뢰 하락과 주가 하락까지 이어졌다. 이는 경영진 및 주요 주주의 주가 관리 및 기업가치 방어 전략의 부재와 무관치 않다.

기업가치 방어
일시적인 자금 조달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장기적 기업가치 하락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 공시와 함께 시장과의 신뢰 관계를 유지하는 IR 전략, 유상증자 이전의 구조조정 및 비용 효율화 노력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은 전략적 투자자와의 협력 구조를 사전에 설계할 필요도 제기된다. 지속적인 유상증자와 주가 방치는 M&A 시에도 할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경영 전략이 없이는 기업가치 상승과 성공적인 엑싯 달성 모두 요원해진다.

https://www.google.com/url?rct=j&sa=t&url=https://www.lawtimes.co.kr/opinion/207312&ct=ga&cd=CAIyHDY5MGViZmIwNzRhOGEwMDI6Y28ua3I6a286S1I&usg=AOvVaw1xIkMYI_tZMgkPQUCfY84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