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728x90

M&A 전략
리멤버를 운영하는 리멤버앤컴퍼니가 매각설에 휩싸였다. 이번 이슈는 리멤버의 최대주주인 아크앤파트너스가 2022년 이후 추진해 온 일련의 인수합병 전략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리멤버는 복수의 스타트업을 단계적으로 인수하며 사용자 기반과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왔다. 리멤버의 빠른 외형 성장에는 '슈퍼앱' 전략과 M&A 전략이 효과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아크앤파트너스는 이러한 성장 과정에서 커머셜, 잡, 부동산 등 서비스를 결합, B2B 중심의 고부가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웠으며, 이는 현재 매각 검토 배경에 실질적 기반이 되어준다.

현 시점에서 리멤버의 매각 추진은 전략적 투자 회수 모멘텀과 산업 내 플랫폼 가치 재조정 흐름 속에서 해석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AI 등 신규 기술 기반의 B2B 서비스 기업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리멤버가 보유한 유의미한 가입자와 거래 데이터는 잠재적 인수자에게 매력적인 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https://zdnet.co.kr/view/?no=20250628001136

728x90
728x90

조선업 구조조정
중국 국영 조선사인 중국선박중공업그룹(CSSC)은 자회사인 중국중공(CSIC)을 흡수합병하는 안건이 최근 상하이증권거래소 인수합병 심사위원회에서 승인됐다. 이번 합병은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조선 산업 재편 전략의 일환으로, 조선업 내 자산 중복과 과잉 생산능력을 해소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합병이 마무리되면 총자산 약 75조원 규모의 ‘조선 공룡’이 탄생한다. 양사의 선박 제작 역량과 기술력을 통합해 규모의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세계 최대 조선사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이번 합병은 한국 조선 3사와의 기술 및 가격 경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정부 주도 통합이 기술 투자 확대와 원가 절감으로 이어질 경우, 향후 글로벌 수주 경쟁에서 기존 강자들의 입지가 약화될 수 있다.

https://m.yonhapnewstv.co.kr/news/AKR20250705174036262

728x90
728x90

HVAC 사업 확대
LG전자가 유럽 냉난방 및 온수 솔루션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최근 LG전자는 노르웨이의 온수 설루션 전문 기업인 OSO Hotwater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업은 유럽 전역에서 고효율 온수 탱크 제조 및 유통 역량을 보유한 중견 B2B 기업으로, 이번 인수를 통해 LG전자는 상업용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포트폴리오를 온수 패키지까지 확장하게 되었다. 특히 유럽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빠르게 진행 중인 지역으로, 고효율 난방 및 에너지 저장 솔루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LG전자는 기존의 히트펌프 기술과 OSO의 제품군을 결합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장 전략 변화
이번 인수는 하드웨어 기반의 단품 판매에서 솔루션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략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특히 ESG 트렌드에 따른 유럽의 에너지 정책 변화가 LG전자의 적극적인 M&A 전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LG전자는 지난 수년간 백색가전 중심의 B2C 사업에서 벗어나 B2B 전문 역량과 영역 확장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구축하고 있다.

LG전자의 이번 M&A는 단순한 제품 라인 확장이 아니라, 유럽 시장 내 에너지 솔루션 제공자로의 포지셔닝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인수 후 OSO의 제조 및 R&D 역량을 LG의 시스템 기술과 통합하면 시너지 극대화가 가능하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6309279b

 

728x90
728x90

소프트뱅크

일본 소프트뱅크가 최근 미국 반도체 스타트업 암페어(Ampere)의 지분 인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독점 조사에 직면하며 인수 절차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제기됐다. 소프트뱅크는 2016년 인수한 ARM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암페어의 기술력 확보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거래에는 오라클과 칼라일그룹이 보유한 암페어 지분 전체가 포함된다. 미국과 유럽 규제 당국은 최근 반도체 및 인공지능 관련 M&A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어, 이번 건도 면밀한 심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반도체

암페어는 ARM 기반 서버 칩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으로, AI 및 클라우드 수요 확대에 따른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된다. 소프트뱅크는 ARM의 기술을 활용한 반도체 생태계를 확장하고, 향후 ARM의 IPO 이후의 전략적 방향성과도 연결 지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규제당국의 제동은 인수 일정에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번 인수가 지연되거나 무산될 경우, ARM의 기술력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 구도에도 일정 부분 영향이 예상된다. 특히 ARM 기반 칩을 중심으로 성장 중인 클라우드 및 AI 투자 시장에 불확실성을 줄 수 있다.

728x90
728x90

M&A 전략 다변화
JKL파트너스가 최근 런던베이글뮤지엄을 인수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 회사는 회계사 출신 세 대표가 2001년 공동 설립한 사모펀드로, 항공·식음료·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활발한 투자와 회수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티웨이항공을 성공적으로 매각하면서 포트폴리오 재구성이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이번 인수는 소비자 직거래(Direct-to-Consumer) 트렌드와 프리미엄 F&B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최근에는 JKL 파트너스가 지분을 보유한 웨이브바이오텍, 이연제약, 디에이치메디칼 등도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업계는 JKL의 최근 행보를 단기 엑시트를 전제로 한 가치 상승 전략으로 보고 있다. 소비재 브랜드에 대한 PE의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수는 식음료 시장에서 브랜딩 기반 수익모델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보여준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26/LMFO56W7Z3Y2O2JCSVTVQL5LOE/

728x90
728x90

라이브커머스 인수
버브테크놀러지스(Verb Technology Company, Inc.)는 최근 라이브커머스 전문 기업 라이브컴(Livcom)을 인수한 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관련 재무정보를 공개했다. 이는 전자상거래와 실시간 영상 기술을 결합한 사업 모델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라이브커머스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버브는 이번 인수를 통해 자사 SaaS 기반의 판매 플랫폼에 실시간 인터랙션 기능을 더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방침이다. 인수된 라이브컴은 이미 아시아 시장에서 라이브 판매 기술을 통해 입지를 강화해온 만큼, 글로벌 확장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 반응 및 전략적 시사점
이번 인수는 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을 통해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소비자 경험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읽힌다. 특히 라이브커머스가 팬덤 중심의 브랜드 마케팅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수익 모델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같은 M&A 전략은 유사 플랫폼 기업들에게도 참고 모델이 될 수 있다.

https://www.beyondpost.co.kr/view.php?ud=202503042257465937edd30ea382_30

728x90
728x90


SK실트론의 기업가치가 시장에서 약 5조 원 수준으로 평가되면서 국내 투자업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IMM PE, 스틱인베스트먼트, MBK파트너스 등 국내 주요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인수 검토 과정에서 발을 뺀 것으로 알려졌다. 실트론은 SK가 지배권을 확보하기 전 재무구조와 사업 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우려가 제기됐던 기업이다. 그러나 이후 반도체 시장 호황과 SK의 경영개입으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고, 이에 따라 상장 가능성과 높은 가치평가가 언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투자 매력도는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판단이 일반적이다.

SK실트론의 사례는 단기간 수익 개선이 장기 가치로 직결되지 않음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은 재무적 개선 외에 구조적 경쟁력 확보 여부를 면밀히 따져야 한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43429

 

728x90
728x90

Dr. Squatch 인수

유니레버(Unilever)가 미국의 민간투자기업 서밋 파트너스(Summit Partners)로부터 천연 남성 퍼스널케어 브랜드 닥터스콰치(Dr. Squatch)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소비 트렌드의 중심에 있는 지속가능성, 자연 성분, 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이번 인수로 유니레버는 기존의 다브(Dove), 액스(Axe) 등 대중적 브랜드 외에도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닥터스콰치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미국의 MZ세대를 중심으로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해왔고, 오프라인 및 글로벌 확장을 위한 다음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거래는 퍼스널케어 시장의 고도화된 세분화 트렌드를 반영한다. 특히 남성용 제품군에서도 특정 성분, 브랜드 세계관, 소비자 경험을 중시하는 흐름에 발맞춘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유니레버의 글로벌 유통망과 마케팅 역량이 닥터스콰치의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인수는 대기업이 스타트업 감성의 D2C 브랜드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함으로써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최근 M&A 트렌드를 보여준다. 기존 브랜드의 유통채널과 시너지를 낼 수 있어 장기적인 브랜드 밸류 상승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2286

728x90
728x90

경영권 인수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결국 미국계 헤지펀드 리버티스트리트어드바이저스에 경영권을 넘기게 됐다. 지난해 9월 샤페론과 체결한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BBT-209) 기술도입 계약을 해지하며, 주요 파이프라인 확보에 실패한 점이 영향을 끼쳤다. 이어 이사회 재편과 함께 지배구조에 변화가 생기자 기존 경영진이 보유한 지분율로는 외부 투자자의 영향력을 막기 어려웠고, 최근 정기주총에서 신규 이사진 선임안이 통과되며 리버티스트리트어드바이저스가 경영권을 확보하게 됐다.

사업 재편

브릿지바이오는 파이프라인 축소 및 신약 후보물질의 도입 실패 등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졌고, 결국 외부 자본의 경영 개입으로 이어졌다. 향후 사업 방향성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 제시가 없다면 지속적인 투자유치도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외국계 자본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신사업 기회를 재정비한다면 오히려 반등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국내 바이오 기업에 대한 외국계 자본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는 기술력을 갖췄지만 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기업들의 구조 재편을 가속화할 수 있으며, 시장 전체의 재편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20/DPRYOH6ZJYVF4XT6VZD7RPZ3BU/

728x90
728x90


오아시스가 티몬 인수를 통해 본격적인 M&A 행보에 나섰다. 티몬은 앞서 회생계획안 부결로 경영 불확실성이 확대됐으나, 법원의 강제인가 결정에 따라 회생절차가 다시 추진된다. 인수 주체인 신선식품 전문몰 오아시스는 티몬을 통해 이커머스 역량을 강화하고, 시너지를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특히 티몬이 보유한 고객 기반과 물류 인프라는 오아시스의 온라인 채널 확장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해당 M&A는 성장 정체에 직면한 오아시스에 전환점을 제공하며, 티몬은 새로운 투자금을 통해 재무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티몬 인수를 통한 오아시스의 확장은 유통업계의 재편 가능성을 시사한다. 단일 상품 중심의 모델에서 멀티 카테고리 커머스로의 전략 전환이 핵심이며, 이 과정에서 기존 유통채널들과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https://dealsite.co.kr

728x90

 

728x90

+ Recent posts

728x90
LIST
728x90
SMALL